딸에 대하여
본문
딸에 대하여 다시보기
카테고리: 영화
평점:
줄거리: 돌덩이 같은 가방을 메고하루 종일 전국을 떠돌아다녀야 하는 보따리 강사.그럼에도 동료 강사의 부당해고에 분노하며생계는 나몰라라 투쟁에 앞장서는 ‘나의 딸’혼인 신고조차 할 수 없는동성 연인과 7년 째 연애를 하고 있는‘나의 딸’이 집으로 돌아왔다, 동성 연인과 함께.세상의 부조리를 이해할 수 없는 딸과세상에 부적합한 딸을 이해할 수 없는 나우리가 함께 마주할 세계가 있을까?
[ 딸에 대하여 - 김혜진 ] 부조리 가득한 삶 가운데 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하자
[ 딸에 대하여 - 김혜진 ] 부조리 가득한 삶 가운데 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하자 우리는 죽습니다. 남은 시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반드시 죽을 수밖에... 그녀의 유일한 희망은 '딸'이었습니다. 대학원까지 보내 공부시키고 지금까지 뒷바라지하는 딸, 하고 싶은 일, 나서고 싶은 일 다 뒤에서 지원해 주고...사회적 약자들의 이야기, 딸에 대하여(Concerning My Daughter, 2024)
결국 엄마와 딸 모두 사회적 약자를 무시하고 하대하는 사회에 대해 큰 소리로 맞서고 있었다. 불의를 보면 참지 말라고 하지 않았냐며 큰 소리치던 딸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은 결국 같은 곳을 향해 걸어가고 있었다. 다만 엄마는 딸의 미래를 염려해야 하는 처지니깐 다를 수 밖에 없었던...[1164] 딸에 대하여 - 김혜진 장편소설
딸에 대하여 - 김혜진 장편소설 (오늘의 젊은 작가 17) * 민음사/1판 1쇄 펴냄 2017년 9월 13일, 1판 20쇄 펴냄 2020년 11월 13일 밥은 먹었냐, 차 조심해라...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권리이자 누구나 각자 살고 싶은 삶이 있다고 주장하는 딸. 그 삶이 어디 자기 한 사람 것인줄 아느냐는 갈등과 대립으로...[어땠어요] 불안 끝에 입을 뗀 사람에 대한 이해 <딸에 대하여> 리뷰
성소수자 커플인 딸과의 동거를 그린 김혜진 작가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<딸에 대하여>입니다. 요양보호사로 일하며 혼자 살고 있는 엄마(오민애 분)에겐 골칫거리 딸이 하나 있습니다.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딸 그린(임세미 분)은 전세 재계약 문제로 쫓겨날 처지가 되자 엄마에게 SOS를...[영화] 딸에 대하여 _ '나'의 일이 될 수 있는
대학교에서 시간제 강사로 일하는 딸(그린)을 둔 엄마는 요양보호사로 일하고 있다. 그러던 중 '그린'이 집으로 돌아오며 연인인 '레인'이 함께 들어온다. . 엄마는 평범하게 연애하고 평범한 가정을 꾸려 평범한 삶을 살기를 '그린'에게 바랬다. 그 이유는... . . 딸에 대하여 . 이번 작품은 '김혜진...‘딸에 대하여’ - '차이'의 의미와 극복
김혜진 작가의 장편소설 <딸에 대하여>는 4년전 독서모임에서 한번 읽고 이야기 나눈 적이 있습니다. 올해 9월 영화로 나왔다 하네요. 다시 보니... 소설의 주인공인 엄마 오주희 여사는 요양보호사로 일하며, 딸 그린의 동성 연인 레인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. 오 여사는 딸이 남들처럼 평범한 삶을...영화 후기 : 딸에 대하여
솔직히 딸에 대하여,,라는 제목이 있고 메인 포스터 두 장도 딸, 어머니, 딸의 연인 이렇게 함께 화기애애하게 찍어둘 거라면 그 셋이 중심이 되는 이야기를 기대하기 마련인데 영화 러닝 타임 대부분을 어르신과 어머니와 함께 있고 노인, 특히 치매 무연고 노인에 대한 처우에 어머니와 함께...내 모습을 반성하게 했던 책 ' 딸에 대하여 '
'민음사' 출판사 ' 딸의 대하여 ' 책은 우연한 기회에 구매하게 된 책이다. 처음 책을 펴고 몇 문장 읽었을 때 이 책은 구매해서 정독하고 싶다라는... 못마땅한 딸, 당연히 그 주위에 있는 사람들도 맘에 들지 않는건 당연할 터~ 책 속의 딸은 지금 어떤 생을 살고 있는지 그 모녀는 서로를 진짜...소설 원작 영화 〈한국이 싫어서〉 〈딸에 대하여〉 〈대도시의 사랑법〉 제작 뒷이야기
〈딸에 대하여〉 사회적 약자들이 만드는 ‘가족의 탄생’ 김혜진 작가의 『딸에 대하여』는 2017년 9월 출간되었고, 영화 계약은 이듬해인... 딸 ‘그린’ 역의 배우 임세미도 눈여겨볼 만하다. 그린은 극 중에서 대학 측의 부당한 해고에 맞서 싸우는 인물인데, 실제 임세미는 제로웨이스트...딸에 대하여 - 김혜진
#딸에대하여 #김혜진 #소설 #책추천 아득한 내일이 아닌 마주 서 있는 지금을 살아가고, 살아내야 하는 어머니와 딸의 이야기! 문학성과 다양성, 참신성을 기치로 한국문학의 미래를 이끌어 갈 신예들의 작품을 엄선한 「오늘의 젊은 작가」의 열일곱 번째 작품 『딸에 대하여』. 힘없는 이들의 소리...딸에 대하여 책, 김혜진 작가의 작품
딸에 대하여 책, 김혜진 작가의 작품 <목차> 1. 들어가는 말 2. 김혜진 작가님 소개 3. 책 정보 4. 영화 <딸에 대하여> 5. 나의 생각 들어가는 말... 딸 딸과 딸의 연인은 7년간 교제해왔어요. 딸은 대학교 시간 강사로 일하고 있었지만, 지금은 성소수자를 부당하게 해고한 대학에 맞서 싸우고 있어요....bOOK)딸에 대하여
이번 달 책모임을 통해 읽게 된 <딸에 대하여>입니다. 책 : 딸에 대하여 ----- 책소개 글 ------ 전직 초등학교 교사였던 주인공. 남편은 죽고... 못내 외면하고 싶은 딸아이의 사생활 앞에 노출된 엄마, 세상과 불화하는 삶이 일상이 되어 버린 딸. 이들의 불편한 동거가 이어지는 동안 딸을 바라보는...우리 모두의 관계들에게… <딸에 대하여> 기자간담회 현장과 시사 후기
<딸에 대하여> 포스터 엄마와 딸, 그리고 우리 모두의 이야기 <딸에 대하여> 요양병원의 요양 보호사로 일하는 엄마(오민애)와 대학 시간강사로 일하는 딸 그린(임세미). 어느 날 그린은 여러 사정으로 집을 빼게 됐다며 동거 중이던 동성연인 레인(하윤경)과 함께 엄마의 집에 살게 된다. 딸의...딸에 대하여 - 김혜진
그런데 『딸에 대하여』는 그 수준이 달랐다. 다 읽고 나서도 지금까지 울화의 찌꺼기가 머릿속에 진득하니 달라붙어 있다고 느껴질 만큼. 이유를... 『딸에 대하여』는 그런 지점이 없었다. 물론 누군가 다치고 누군가 죽기는 한다. 다만 서로를 겨눈 감정선상에서 일어나는 게 아니라, 각자의...우린 과연 혼자일까? <딸에 대하여>
임세미, 하윤경 배우가 나온다고 하여 보고싶었던 영화 <딸에 대하여>가 여성인권영화제에 상영된다고 해서, '이건 꼭 봐야돼!' 하고 생각했다.... 엄마 편의 대출도 어렵게 되자 동성연인과 함께 엄마의 집으로 들어온 딸. 두 사람과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된 엄마는 요양원의 어르신을 돌보는 데...<딸에 대하여> 보이지 않는 뱀
'딸'이 된 '엄마' 이상하다. ‘엄마’는 요양보호사로 일할 뿐 제희와는 남남이다. 남인데 왜 그렇게까지 제희를 위해 헌신하는가. ‘엄마’는... 이건 일면 당연해 보이면서도 너무나 이상한 일이네, 그런 생각을 했다. 딸에 대하여 감독 이미랑 출연 오민애, 허진, 임세미, 하윤경 개봉 2024.09.04.[딸에 대하여] - 공감과 연대는 확장된 자아.
#딸에대하여 딸에 대하여 감독 이미랑 출연 오민애, 허진, 임세미, 하윤경 개봉 2024.09.04. 2024년 9월 5일 목요일 오후 cgv 아트하우스 직관. - 포스터만 보고 관람 결정. 아트하우스 영화였으니까. - 나, 아트하우스 영화 보는 남자. - 포스터만 보고선, 엄마와 두 딸 이야기인 줄 알았음. - 아니였음. 두...영화 딸에 대하여 원작 소설 줄거리 딸을 이해하려는 엄마 이야기
아직 보지는 못했지만 영화 딸에 대하여는 원작의 줄거리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. 전직 교사인 엄마는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한 딸 그린이 원하는 돈 대신 방을 내어 준다. 집으로 들어온 딸은 혼자가 아니다. 그의 동성 연인 레인과 함께다. 인정하고 싶지 않은 딸의 사생활이 매일 마주하는...책, 딸에 대하여
이런 저런 핑계로 5년만에 꺼내 든 <딸에 대하여> 5년 전에 읽었다면 책의 의미를 캐치 못하고 읽다 중간에 포기하고 책이 좀 어려워 선배 라고 했을 것 같다. (사실 지금도 100% 의미 파악이 된 건 아니지만) 결혼하고 딸 아이를 뱃 속에 품고 있는 지금. 이 책은 내게 혼란의 질문을 던진다. 이게 내...딸에 대하여 - 존재해야만 하는 친밀함의 순간 /박예지 평론가
<딸에 대하여>(2024)는 세 세대를 걸쳐 사회의 중심부에서 벗어나 소수자로서 불안정하게 살고 있는 여성들의 삶을 그린 영화이자, 한국 사회에서 가장 보수적인 이데올로기인 ‘가족’의 의미를 <가족의 탄생>(2006) 이후로 가장 잘 탐구한 영화이다. 요양보호사인 엄마(오민애)의 딸 그린(임세미)...
티비핫
레벨
-
등록일 02:20
-
등록일 02:20
-
등록일 02:20
-
등록일 02:20
-
등록일 02:20
관련자료
-
링크